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1012
- implementaion
- programming
- simulation
- greedy
- DFS
- javascript
- 출처:장기효vue.js
- 백준
- algorithm
- floyd washall
- 코테
- Vue.j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0)
DevDave
[학생번호] 문제 이번에는 학생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학생마다 고유한 학생 번호를 부여하기로 하였다. 학생 번호는 0부터 9 사이의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모든 학생들의 학생 번호는 서로 다르지만 그 길이는 모두 같다. 학생들의 번호를 부여해 놓고 보니, 김진영 조교는 어쩌면 번호가 지나치게 긴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7자리의 학생 번호를 보자. 이름번호 오민식 1212345 김형택 1212356 이동호 0033445 이처럼 학생 번호를 굳이 7자리로 하지 않고, 뒤에서 세 자리만을 추려서 남겨 놓아도 모든 학생들의 학생 번호를 서로 다르게 만들 수 있다. 이름번호 오민식 345 김형택 356 이동호 445 하지만 세 자리보다 적게 남겨 놓아서는 모든 학..
문제 다솜이는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기계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이 기계를 이용해서 2008년 4월 9일 국회의원 선거를 조작하려고 한다. 다솜이의 기계는 각 사람들이 누구를 찍을 지 미리 읽을 수 있다. 어떤 사람이 누구를 찍을 지 정했으면, 반드시 선거때 그 사람을 찍는다. 현재 형택구에 나온 국회의원 후보는 N명이다. 다솜이는 이 기계를 이용해서 그 마을의 주민 M명의 마음을 모두 읽었다. 다솜이는 기호 1번이다. 다솜이는 사람들의 마음을 읽어서 자신을 찍지 않으려는 사람을 돈으로 매수해서 국회의원에 당선이 되게 하려고 한다. 다른 모든 사람의 득표수 보다 많은 득표수를 가질 때, 그 사람이 국회의원에 당선된다. 예를 들어서, 마음을 읽은 결과 기호 1번이 5표, 기호 2번이 7표, 기호 ..

swagger 사용법 및 API 문서 자동화 Swagger 사용이유 - Spring으로 Rest API를 개발하고 그 API에 대한 문서를 정리하여 해당 API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개발자들에게 문서를 정리해서 공유해야하는데 이때 Swagger를 이용하게되면 이런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API 문서 자동화 뿐만 아니라 UI에서 직접 API 테스트로 할 수 있다. Swagger 사용방법 -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원하는 설명을 적으면 된다. 주로 컨트롤러에 무슨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인지, HTTP 메서드의 역할, 필요한 파라미터가 무엇인지, 파라미터 값 설명을 입력한다. 또한 schema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모델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swagger 3 기타 annotation ..
HTTP 에는 쿠키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름부터가 친숙하고 귀엽다. 왜 쿠키라는 이름이 붙여졌을까에는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있는데, 내가 처음 공부할 때 들었던 이야기는 헨젤과 그레텔 동화에서 쿠키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것이다. 동화에서 헨젤과 그레텔이 자신들이 지나온 길을 표시하기 위해 쿠키조각을 바닥에 떨어뜨린 것과 마찬가지로 서버에 요청한 사람이 누구인지 표시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남긴다해서 쿠키라 부른다는 것이다. ( ..그럴싸 하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쿠키 안에 운세 같은 메세지가 담겨있는 포춘쿠키와 유사하다고 해서 쿠키가 되었다라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사실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두 프로그램 사이에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패킷을 매직 쿠키라 불렀는데 여기서 HTTP 쿠키가 유래되었..

문제 재원이는 한 도시의 시장이 되었다. 이 도시에는 도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큰 일직선 모양의 강이 흐르고 있다. 하지만 재원이는 다리가 없어서 시민들이 강을 건너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음을 알고 다리를 짓기로 결심하였다. 강 주변에서 다리를 짓기에 적합한 곳을 사이트라고 한다. 재원이는 강 주변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 강의 서쪽에는 N개의 사이트가 있고 동쪽에는 M개의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N ≤ M) 재원이는 서쪽의 사이트와 동쪽의 사이트를 다리로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한 사이트에는 최대 한 개의 다리만 연결될 수 있다.) 재원이는 다리를 최대한 많이 지으려고 하기 때문에 서쪽의 사이트 개수만큼 (N개) 다리를 지으려고 한다. 다리끼리는 서로 겹쳐질 수 없다고 할 때 다리를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