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FS
- greedy
- programming
- floyd washall
- 백준
- simulation
- javascript
- 출처:장기효vue.js
- 1012
- implementaion
- Python
- 코테
- Vue.js
- algorithm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0)
DevDave
뷰라우터(페이지 이동 기능) 뷰라우터는 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싱글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router-view 브라우저의 주소창에서 URL이 변경되면, 앞에서 정의한 routes속성에 따라 해당 컴포넌트가 화면에 뿌려진다. 이때 뿌려지는 지점이 템플릿의 이다. router-link 라우터에서 페이지 이동을 위한 링크 태그 일반적으로 웹페이지에서 페이지 이동을 할 때는 사용자가 URL을 다쳐서 이동하지 않습니다. 이때 화면에서 특정 링크를 클릭해서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게 해줘야 하는데 그게 바로 이다. DOCTYPE html> Document Login Main var LoginComponent = { template: 'login' } var MainComponent = ..

DOCTYPE html> Document {{str}} // v-bind: // v-on: 하위컴포넌트에서 발생한 event이름 //appComponent에서 appHeader로 데이터 보내는 실습 //root 아래 component var appHeader = { template: 'header', props: ['propsdata'] } //root 아래 component var appContent = { // 클릭하면 passNum이라는 메서드 실행 template: 'contentpass' ,methods:{ passNum: function(){ //emit으로 event 수행 this.$emit('pass',10); } } } //root Component new Vue({ el: '#app' ..
Object.defineProperty() 정적 메서드는 객체에 직접 새 속성을 정의하거나 객체의 기존 속성을 수정하고 객체를 반환합니다. SYNTAX Object.defineProperty(obj, prop, descriptor) obj 속성을 정의할 개체입니다. prop 정의하거나 수정할 속성의 키를 지정하는 문자열 또는 기호입니다. descriptor 정의 또는 수정 중인 속성에 대한 설명자 Return value 지정된 속성이 추가되거나 수정된 상태로 함수에 전달된 개체입니다. ex) const object1 = {}; Object.defineProperty(object1, 'property1', { value: 42, writable: false }); object1.property1 = 7..
즉시 실행 함수 표현(IIF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은 정의되자마자 즉시 실행되는 Javascript Function 를 말한다. (function () { statements })(); 이는 Self-Executing Anonymous Function 으로 알려진 디자인 패턴이고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괄호((), Grouping Operator)로 둘러싸인 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이다. 이는 전역 스코프에 불필요한 변수를 추가해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IFE 내부안으로 다른 변수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두 번째 부분은 즉시 실행 함수를 생성하는 괄호()이다. 이를 통해 자..
작년 이맘때쯤 중소기업을 퇴사하고 대기업 인턴 생활을 하던 때이다. 중소기업을 오래 근무하지는 않았지만 조금 더 성장하고 싶은 생각이 많아서인지, 틈틈이 공부하고 기록하곤 하였다. 하지만, 대기업 입사 이후 대기업 뽕 맛에 취해서 헝그리 정신은 온데간데없어졌고 신나게 놀다 보니 벌써 일 년이 지났다. 회사에서는 python으로 개발하였고 이미 python은 타 언어보다는 자신이 있었는지 따로 공부하지 않고 회사에서 단순 검색을 하며 개발하곤 하였다. 자동화 개발을 마친 후 회사 내 자체 포탈 개발업무를 하게 되었고 공부를 안 한 탓에 SPRING은 다 잊었고, 처음 보는 vue.js는 업무를 하기 싫게 만들었다. 계속 이러다간 발전이 없을 것 같아 다시 정신 차리고 하루에 최소 한 시간씩만 공부하며 공부..